↑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 성 아놀드 얀센(Saint Arnold Janssen) |
축일(Feast) | 1월 15일(15 January) |
성인 구분(Saint Type) | 성인(Saint) |
시복(Beatified) | 1975년 10월 19일(19 October 1975) |
시성(Canonized) | 2003년 10월 5일(5 October 2003) |
수호(Patronage) | |
신분(Identity) | 신부(priest), 설립자(Founder) |
활동지역(activity area) | |
활동연도(activity year) | 1837-1909년 |
성 아놀드 얀센(Saint Arnold Janssen)은 독일에서 태어났다. 아놀드의 뜻은 독일어로 ‘독수리’를 뜻하는 아른(arn)과 ‘힘’을 뜻하는 발트(wald)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Saint Arnold Janssen was born in Germany. The name Arnold comes from the German words arn, meaning ‘eagle’, and wald, meaning ‘strength’.
어려서부터 성소에 대한 꿈을 키운 그는 고향 인근의 가톨릭 학교에서 수학한 후 뮌스터(Munster)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본(Bonn) 대학교에 들어갔다.
Having dreamed of a vocation from a young age, he studied at a Catholic school near his hometown, then studied philosophy in Munster and entered the University of Bonn.
그는 1861년 8월 15일 뮌스터 교구의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 후 12년 동안 독일 북서부의 보홀트(Bocholt) 시에 있는 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아 자연과학과 수학을 가르쳤다.
He was ordained a priest for the Diocese of Münster on August 15, 1861. For the next 12 years, he taught at a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Bocholt in northwestern Germany, teaching natural science and mathematics.
1873년 교직을 떠난 뒤 그는 “예수 성심의 작은 메신저(Little Messenger of the Sacred Heart)”라는 선교잡지를 창간해 선교사들의 활동을 전하면서 더 많은 신자가 선교 활동에 관심을 갖고 동참할 수 있는 길을 찾았다.
After leaving the teaching profession in 1873, he founded a missionary magazine called “Little Messenger of the Sacred Heart” and spread the word about the activities of missionaries, finding a way for more believers to become interested in and participate in missionary activities.
그 무렵 비스마르크 재상에 의해 독일 전역에서 문화 투쟁이 벌어졌고 교회가 정부로부터 조직적인 탄압을 당하면서 많은 사제와 수도자가 추방되고 주교가 투옥되기도 했다.
At that time, cultural struggles took place throughout Germany under Chancellor Bismarck, and the church was systematically suppressed by the government, with many priests and monks expelled and bishops imprisoned.
이런 상황에서 추방당한 사제와 수도자들이 해외 선교로 눈을 돌렸지만, 그 준비 과정이 쉽지가 않았다. 그는 그들을 돕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란 사실을 깨닫고 체계적인 선교사 양성을 위한 신학원을 설립을 본격화했다.
In this situation, exiled priests and monks turned to overseas missions, but the preparation process was not easy. He realized that it was his calling to help them and began establishing a seminary for systematic missionary training.
다만 독일에서는 상황이 여의치 않아 네덜란드의 슈타일(Steyl)로 가서 1875년 9월 8일 ‘성 미카엘 선교 신학교(St. Michael’s Mission Seminary)’를 설립하였다.
However, as the situation in Germany was not favorable, he went to Steyl in the Netherlands and established ‘St. Michael’s Mission Seminary’ on September 8, 1875.
이 신학교는 세계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말씀의 선교 수도회(Society of the Divine Word)’의 모태가 되었다.
This seminary became the origin of the ‘Society of the Divine Word’, which aimed at world missions.
한편 그는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을 돕기 위해 선교잡지를 다시 발간하여 배포하고, 1889년 12월 8일에는 ‘성체조배의 성령 선교 수녀회(Missionary Sisters Servants of the Holy Spirit)’를 설립하였고 말씀의 선교 수도회(Society of the Divine Word)와 협력하도록 했다.
Meanwhile, he republished and distributed missionary magazines to help missionaries in their missionary activities, and on December 8, 1889, he founded the ‘Missionary Sisters Servants of the Holy Spirit’and Collaborated with the Missionary Society of the Divine Word.
그리고 1896년 12월 8일 기도로 선교에 참여하는 관상 봉쇄 수녀회인 ‘성체조배의 성령 선교 수녀회(Missionary Sisters Servants of the Holy Spirit)’를 설립하였다. 그는 1909년 1월 15일 슈타일의 수도원에서 71세의 나이로 선종하였다.
And on December 8, 1896, she founded the ‘Missionary Sisters Servants of the Holy Spirit’, a contemplative cloistered nuns’ congregation that participated in missionary work through prayer. He died at the age of 71 in a monastery in Styl on January 15, 1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