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가강단] 중국 역사 강의 프로그램46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Wang Li Qun) 진시황(Qin Shi Huang) 강의 제 32강 진시황의 죽음(Qin Shi Huang's death)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32)秦始皇之死 진시황은 분서 갱유를통해서 사상 문화적으로 집권 통치에 불리한 요소를 제거하였으며 이로써 진시황은 이미 고도로 집권한 국가를 세워 그의 뒷걱정을 없앴습니다. 중년에 이른 진시황은 이때 더 많은 시간을 어떻게 사신과 싸울 것인가를 고려하였습니다. 불로장생의 약을 찾기 위해 진시황은 마흔아홉 살에 그의 인생의 다섯 번째 대순행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순행에서 진시황은 본래 불로장생을 추구하고자 하였습니다. 뜻밖에도 자신이 돌아올 수 없는 길을 향해 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했고 만고의 미스테리를 일으키며 진시황은 사구에서 그의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진시황의 이번 순행에는 도대체 어떠한 배경이 있었을까요? 진시황은 왜 미스테리한 죽음을 맞이했던 걸까요? 왕리.. 2023. 10. 1.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Wang Li Qun) 진시황(Qin Shi Hunag) 강의 제 30강 분서갱유(Burning of books and burying of scholars)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30)焚书坑儒 진시황을 말하면 우리가 먼저 떠올리는 것은 그가 육국을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하여 중국 역사상 천고일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에게서 훗날 일어난 두 가지 사건이 그에게 만고의 오명을 남기게 했는데 바로 분서갱유였습니다. 이 단어는 이미 중국 역사상 유명한 고사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분서갱유는 도대체 어떻게 발생했으며 우리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더보기 说到秦始皇,我们首先想到的就是他灭六国,统一天下,成为中国历史上千古一帝。但是在他身上,后来发生的两件事情,却让他留下千古骂名,这两件事就是焚书坑儒。这个词已经成为中国历史上一个著名的典故,那么焚书坑儒到底是怎么发生的,我们应该如何评价呢? 단어정리 ●千古骂名[qiān gŭ mà míng] 천고의 오명 ● 焚书坑儒[fén shū .. 2023. 9. 28.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Wang Li Qun) 진시황(Qin Shi Huang) 강의 제 30강 불로장생(Elixir of life)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30)生死茫茫 진시황은 육국을 통일하고 천하를 합병하였으며 집권을 강화하여 모든 것이 정리된 후 좋은 강산과 무늬가 바뀐 금의옥식에 직면하자 그는 당연히 이런 인간 세상의 향락이 영원히 유지되기를 바랬습니다. 진시황의 일생 중 한 사람이 그의 생사 관념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 바로 서복입니다. 그는 진시황에게 불로장생의 사상을 불어넣었으며 사방으로 진시황에게 신선의 약을 구하게 만들었으며 진시황에게 여러 번 그를 도와 바다로 나가도록 하여 역사상 유명한 서복동도를 형성하였으며 서복 항해가의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서복은 진시황의 바램을 돕지 않았으며 진시황을 계속 속였습니다. 서복은 왜 진시황을 속였던 것일까요? 더보기 秦始皇统一六国,兼并天下,加强集权,一切都尘埃落定以后,.. 2023. 9. 25.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Wang Liqun) 진시황(Qin Shi Huang) 강의 제 29강 만리장성(Great Wall of China)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29)万里长城 진나라는 중국 통일의 다민족 봉건국가의 시초로서 역사책에 천추를 빛낸 후한 필묵을 남겼습니다. 진나라의 창건자인 진시황은 분봉을 폐지하고 군현을 설치하고 전제주의, 중앙집권제를 실시하였으며 수레는 두 바퀴의 축을 같이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는 대통일 문명을 개창하며 천고일제의 명성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온 세상 사람의 주목을 받으며 만리장성을 쌓은 것은 오히려 진시황에게 비방과 칭찬이 반반인 역사적 평가를 주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진시황이 만리장성을 쌓은 것은 외적의 침입을 막아 백성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했으며 따라서 만리장성은 중화문명의 상징입니다. 또한 어떤 사람들은 만리장성을 쌓은 것이 진시황의 폭정을 반영한다고 생각했으며 .. 2023. 9. 23.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王立群) 진시황(秦始皇) 강의 제 28강 통일제도(统一制度)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28)统一制度 지난 강의에서 왕리췬 선생은 진시황이 정치 제도, 조직 제도에서 많은 방법을 채택하여 진제국의 통치를 공고히 하였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문화와 경제에서도 진시황은 문자를 통일하고 도량형을 통일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통치를 강화하였습니다. 사서에는 진시황은 소전을 써서 중국 문자를 통일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는데 출토된 진나라 문자 중에서 우리가 더 많이 보았던 것은 진예였습니다. 이것은 왜일까요? 사서의 기록이 잘못된걸까요?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는걸까요? 진시황은 또한 경제에서 도량형을 통일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습니다. 이것이 또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요? 더보기 上一集中,王立群先生讲到,秦始皇从政治制度,组织制度上采取了很多办法来巩固.. 2023. 9. 20.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王立群) 진시황(秦始皇) 강의 제 27강 황제제도의 탄생(集权皇帝)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27)集权皇帝 기원전 221년 진왕 영정은 마침내 육국을 통일하는 역사적 사명을 완수하고, 통일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동시에 영정 앞에 새로운 문제가 놓여 있는데 그것은 바로 그의 호칭 문제였습니다. 진나라 이전에 주나라 천자는 모두 왕으로 칭했고 이전의 유아독존의 칭호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당당히 사용하였습니다. 진왕 영정은 자신의 통일된 강산을 마주하고 왕의 칭호가 더 이상 자신의 위엄을 드러낼 수 없다고 생각하였고 그리하여 새로운 칭호가 탄생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황제였습니다. 황제라는 단어는 도대체 어떤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더보기 公元前221年,秦王嬴政终于完成了统一六国的历史使命,建立了一个大一统的帝国,与此同时,一个新的问题摆在赢政面前,那就是他的称谓问题。在秦朝以前,周天子.. 2023. 9. 19.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王立群) 진시황(秦始皇) 강의 제 26강 여섯 왕이 이루어 낸 사명(六世余烈)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26)六世余烈 지난 강의에서 왕리췬 선생은 진왕 영정이 육국을 멸망시킨 것에 10년밖에 걸리지 않은 이유에 대해 말했습니다. 이것은 주변의 문신과 무장뿐 아니라 식인지명과 용인지재 덕분이었습니다. 진나라 내부에서는 진왕 영정이 문무를 완비하고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강력한 팀을 조직했습니다. 그래서 육국을 멸하는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만으로 진왕 영정은 천하를 병합하여 구주를 제패할 수 있었을까요? 사실 이것은 복잡한 문제입니다. 우리는 진나라의 역사를 통해 그것의 원인을 탐구해야 합니다. 왜 전국 칠웅 중에서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으며 진의 통일은 역사의 선택이었을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었던 것일까요? 더보기 在上一集节目中王立群老师讲到秦.. 2023. 9. 15.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王立群) 진시황(秦始皇) 강의 제 25강 고굉지신(股肱之臣)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25)股肱之臣 기원전 221년 제나라가 싸우지 않고 항복하면서 진시황의 여섯 나라를 통일하는 전쟁이 모두 끝났으며 여섯 나라의 멸망의 시기와 순서를 간단히 되짚어 봅시다. 기원전 230년에 한, 기원전 228년에 조, 기원전 225년에 위, 기원전 223년에 초, 기원전 222년에 연, 기원전 221년에 제를 멸망시켰습니다. 불과 10년 만에 진왕 영정은 2세기 반에 걸친 전국시대의 종지부를 찍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진나라 군대는 파죽지세였고, 가는 곳마다 승리하였으며 중화 대지를 통할하여 거느렸습니다. 진군의 빠른 속도는 사람들로 하여금 말문이 막히게 했습니다. 왜 진나라의 통일 사업은 이렇게 순조로웠을까요? 진왕 영정은 무엇으로 통일의 대업을 완성했을까요? 더보기 公元前2.. 2023.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