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 성녀 요세피나 바키타(Saint Josephine Bakhita) |
축일(Feast) | 2월 8일(8 February) |
성인 구분(Saint Type) | 성녀(Saintess) |
시복(Beatified) | 1992년 5월 17일(17 May 1992) |
시성(Canonized) | 2000년 10월 1일(1 October 2000) |
수호(Patronage) | |
신분(Identity) | 수녀(Nun) |
활동지역(activity area) | |
활동연도(activity year) | 1869-1947년 |
성녀 요세피나 바키타(Saint Josephine Bakhita)는 1869년 아프리카 수단에서 부유한 가정의 딸로 태어났다. 그러나 그녀는 9살쯤 아랍 노예상인에게 납치되어 고통스런 청소년기를 보냈다.
Saint Josephine Bakhita was born in 1869 in Sudan, Africa, as the daughter of a wealthy family. However, she was kidnapped by an Arab slave trader when she was around 9 years old and spent a painful adolescence.
‘바키타(Bakhita)’라는 이름도 노예상인들이 지어준 것으로 ‘행운’이란 뜻이다.
The name ‘Bakhita’ was given by slave traders and means ‘good luck’.
이름과 달리 그녀는 노예시장에서 팔리고 또 팔리는 신세가 되어 모진 고생을 했다. 그러다가 1883년 이탈리아 외교관 칼리스토 레냐니(Callisto Legnani)에게 팔리면서 그녀의 운명도 바뀌게 되었다.
Contrary to her name, she suffered greatly as she was sold and sold again in the slave market. Then, her fate changed when she was sold to Italian diplomat Callisto Legnani in 1883.
처음으로 욕설이나 매질이 아닌 인간적인 대접을 받은 그녀는 그 후 외교관의 친구인 아우구스토 미치엘리(Augusto Michieli) 가족에게 보내졌고 유모로서 일하게 되었다.
For the first time, she was treated humanely rather than verbally abused or beaten. She was then sent to the family of Augusto Michieli, a diplomat's friend, and worked as a nanny.
그녀는 이탈리아에서 좋은 대우를 받으며 그 나라를 사랑하게 되었다. 미치엘리(Michieli)가 근무지를 옮기면서 자신의 큰딸과 요세피나(Josephine)를 카노시안 수녀회(Canossian Sisters)에 맡겼다.
She was treated well in Italy and fell in love with the country. When Michieli moved to work, he entrusted his eldest daughter and Josephine to the Canossian Sisters.
그곳에서 그녀는 세상의 참된 주인이신 하느님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There she first learned of the existence of God, the true owner of the world.
그녀는 교리를 배워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고, 1890년 1월 9일 세례를 받으면서 자신의 새로운 인생의 상징으로 요세피나(Josephine)라는 세례명을 정했다.
She learned the doctrine and converted to Christianity, and was baptized on January 9, 1890, taking the baptismal name Josephine as a symbol of her new life.
그리고 1893년 카노시안 수녀회(Canossian Sisters)에 입회하여 3년 뒤인 1896년 12월 8일 첫 서원을 했다.
She joined the Canossian Sisters in 1893 and made her first vows three years later, on December 8, 1896.
그녀는 온화하고 따뜻한 성품을 지녔고, 어떠한 천한 일도 마다하지 않고 행하며, 가난하고 곤경에 처한 이들을 돕는데 온힘을 다 쏟았다.
She had a gentle and warm personality, willing to do any menial task, and devoted all her energy to helping the poor and those in need.
그래서 사람들은 그녀를 ‘검은 피부의 어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말년에 병고에 시달리면서도 온화한 미소를 잃지 않았던 그녀는 1947년 2월 8일 선종하였다.
So people started calling her ‘the dark-skinned mother.’ Despite suffering from illness in her later years, she never lost her gentle smile and died on February 8, 1947.
'[천주교] 나의 가톨릭 이야기 > [천주교] 가톨릭의 수호성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주교 세례명] “치과의사와 이가 아픈 이들의 수호성인” 성녀 아폴로니아(Saint Apollonia) (0) | 2024.01.31 |
---|---|
[천주교 세례명] “교사와 작가의 수호성인” 성 미카엘 페브레스 코르데로(Saint Miguel Febres Cordero) (0) | 2024.01.30 |
[천주교 세례명] “고아들과 버림받은 청소년들의 수호성인” 성 예로니모 에밀리아니(Saint Jerome Emiliani) (0) | 2024.01.30 |
[천주교 세례명] “교황은 세속군주가 아니라 영적이자 정신적 지도자” 교황 비오 9세(Pope Blessed Pius IX) (0) | 2024.01.29 |
[천주교 세례명] “눈병을 앓는 이들의 수호성인” 성 베다스토(Saint Vedast)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