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주교] 나의 가톨릭 이야기/[천주교] 가톨릭의 수호성인

[천주교 세례명] “박해에도 신앙의 자유를 위해 싸운”성 라파엘 귀자르 발렌시아(Saint Rafael Guízar y Valencia)

by 1살 비오 2024. 4. 10.
반응형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성 라파엘 귀자르 발렌시아(Saint Rafael Guízar y Valencia)
축일(Feast) 6월 6일(6 June)
성인 구분(Saint Type) 성인(Saint)
시복(Beatified) 1995년 1월 29일(29 January 1995)
시성(Canonized) 2006년 10월 15일(15 October 2006)
수호(Patronage)  
신분(Identity) 주교(Bishop)
활동지역(activity area) 베라크루즈(Veracruz)
활동연도(activity year) 1878–1938년

 

 

성 라파엘 귀자르 발렌시아(Saint Rafael Guízar y Valencia)는 1878년 4월 26일 멕시코에서 태어났다.
더보기

Saint Rafael Guízar y Valencia was born in Mexico on April 26, 1878. 

 

그의 부모님은 독실한 그리스도인으로서 그는 가정에서부터 훌륭한 신앙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9살 때 어머니를 여읜 그는 일찍이 수도회 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고 이어 예수회 사제들과 함께 시간을 보냈다.
더보기

His parents were devout Christians, and he grew up receiving excellent religious education from home. After losing his mother at the age of nine, he began studying at a convent school early and spent time with Jesuit priests. 

 

1901년 6월 그는 23살의 나이에 사제품을 받았다.
더보기

In June 1901, he was ordained a priest at the age of 23. 

 

1910년에 일어난 멕시코 민족주의 혁명의 여파로 가톨릭 교회에 대한 정부의 박해가 심해지자 그는 이에 저항하기 위해 1911년에 종교 신문을 창간하였다. 하지만 오래가지 않아 불행히도 혁명 세력에 의해 폐간되고 말았다.
더보기

As government persecution of the Catholic Church intensified in the aftermath of the Mexican Nationalist Revolution that occurred in 1910, he founded a religious newspaper in 1911 to protest. Unfortunately, it did not last long until it was closed down by revolutionary forces. 

 

그럼에도 그는 사도직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 거리의 상인, 음악가 등으로 위장하여 병든 이들을 치유하고 위로하며 죽어가는 이들에게 성사를 집전하였다.
더보기

Nevertheless, in order to continue his apostolate, he disguised himself as a street vendor and musician, healing and comforting the sick, and administering the sacraments to the dying. 

 

그는 혁명 세력들에 의해 쫓겨 다니며 계속되는 체포의 위험 때문에 더 이상 멕시코 지역에 머물 수 없었다.
더보기

He was hunted by revolutionary forces and could no longer remain in Mexico due to the constant risk of arrest. 

 

선교사로서 그의 명성이 날로 높아지자 쿠바에서 선교사들을 지도해 달라는 초대를 받았다.
더보기

As his reputation as a missionary grew, he was invited to lead missionaries in Cuba. 

 

쿠바에서의 그의 활동은 매우 생산적이었으며, 특별히 1919년 흑사병 희생자들을 위한 자선사업은 매우 모범적이었다.
더보기

His activities in Cuba were very productive, and his charity work for victims of the 1919 Black Death was particularly exemplary. 

 

멕시코 혁명이 잦아들자 1920년 1월 9일 그는 멕시코로 돌아왔다. 신앙의 자유를 위해 박해자들의 손에 자신의 목숨마저 맡기며 사명을 수행하던 그는 심근경색으로 선종하였다.
더보기

As the Mexican Revolution subsided, he returned to Mexico on January 9, 1920. He died of a myocardial infarction while carrying out his mission by leaving his life in the hands of his persecutors for freedom of religi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