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주교] 나의 가톨릭 이야기/[천주교] 가톨릭의 수호성인

[천주교 세례명(catholic baptismal name)] 역경 속의 인내의 수호 성인이자 항상 기도하는 여인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

by 1살 비오 2023. 10. 18.
반응형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
축일(Feast) 11월 18일(18 November)
성인 구분(Saint Type) 성녀(Saintess)
시복(Beatified) 1940년 5월 12일(May 12, 1940)
시성(Canonized) 1988년 7월 3일(July 3, 1988)
수호(Patronage) 역경 속의 인내(perseverance amid adversity)
신분(Identity) 수녀원장(Abbess), 선교사(missionary)
활동지역(activity area)  
활동연도(activity year) 1769-1852년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은 1769년 8월 29일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저명한 법률가였고 어머니는 프랑스에서 존경받는 가문의 딸이었다.
더보기

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 was born in France on August 29, 1769. Her father was a prominent lawyer and her mother was the daughter of a respected family in France. 

 

그녀는 성모 방문 수녀회(Order of the Visitation of Holy Mary)에서 교육을 받았고 강력하게 결혼을 요구하던 부모님의 요구를 뿌리치고 1788년에 성모 방문 수녀회(Order of the Visitation of Holy Mary)에 입회하였다.
더보기

She was educated at the Order of the Visitation of Holy Mary and, rejecting her parents' strong demands for marriage, she joined the Order of the Visitation of Holy Mary in 1788.

 

그러나 다음 해부터 시작된 프랑스 혁명의 불길이 전국을 휩쓸면서 수도원도 약탈당하고 강제로 폐쇄되면서 수도자들은 프랑스에서 추방되었다.
더보기

However, as the flames of the French Revolution began the following year and swept across the country, monasteries were plundered and forcibly closed, forcing monks to be expelled from France.

 

그녀는 1791년에 몰래 집으로 돌아와 병자들을 방문하거나 고통받는 이들을 돌보며 가능한 수도 규칙에 따른 삶을 이어가고자 노력했다. 또한 혁명의 희생자로 감옥에 갇힌 성직자들을 찾아다니며 위로하는 데에도 힘썼다.
더보기

She secretly returned home in 1791 and tried to live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monastic rules by visiting the sick and caring for the suffering. She also visited and comforted priests who were imprisoned as victims of the revolution. 

 

1801년 교황 비오 7세(Pius VII)나폴레옹 간에 교회와 국가의 평화로운 관계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협정이 체결된 후, 그녀는 자신이 생활했던 성모 방문 수녀회(Order of the Visitation of Holy Mary)로 돌아와 수녀원을 재건하려고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더보기

After an agreement was signed between Pope Pius VII and Napoleon in 1801 aimed at restoring peaceful relations between church and state, she returned to the Order of the Visitation of Holy Mary, where she had lived. Upon returning, she made several efforts to rebuild the convent.

 

그 무렵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은 이제 막 성심 수녀회(Sacred Heart convent)를 설립한 성녀 막달레나 소피아 바라(Saint Madeleine Sophie Barat) 원장을 만나 수녀원 재건에 대한 도움을 청했으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깨닫게 되었다.
더보기

At that time, 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 met Saint Madeleine Sophie Barat, who had just founded the Sacred Heart convent, and asked for help in rebuilding the convent, but found that it was practically impossible. 

 

 

 

성녀 막달레나 소피아 바라(Saint Madeleine Sophie Barat)는 그녀의 열정과 용기에 감명받아 그녀를 성심 수녀회(Sacred Heart convent)로 초대했고, 이를 받아들인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은 1804년 12월 31일 성심 수녀회(Sacred Heart convent)의 수녀로 서원을 했다.
더보기

Saint Madeleine Sophie Barat was impressed by her passion and courage and invited her to join the Sacred Heart convent, and Saint Rose Philippine Duchesne accepted this and made her vows as a nun of the Sacred Heart convent on December 31, 1804.

 

1818년 그녀는 네 명의 동료 수녀들과 함께 신대륙인 미국으로 파견되어 분원장이 되었고, 영어를 배우면서 미주리(Missouri) 주에서 가장 외딴 마을이었던 세인트찰스(St. Charles)에 정착해 미국에서 첫 번째 성심 수녀원(Sacred Heart convent)을 세웠다.
더보기

In 1818, she was dispatched to the New World, America, with four fellow nuns, and became the head of the branch. While learning English, she settled in St. Charles, the most remote village in Missouri, and established the first Sacred Heart convent in the United States.

 

영어뿐만 아니라 인디언과의 소통 및 문화적 차이 등 많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공동체는 크게 성장했다.
더보기

Despite many difficulties, such as communication and cultural differences not only with the English language but also with Indians, their community grew significantly.

 

비록 그들의 말을 할 수 없어서 대화를 나눌 수는 없었지만 늘 기도와 묵상에 잠긴 모습을 통해 ‘항상 기도하는 여인(Woman Who Prays Always)’이란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인디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더보기

Although they could not speak because they could not speak the language, the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Indians, to the point where they were called 'Woman Who Prays Always' through the way they were always immersed in prayer and meditation.

 

그러나 불과 1년 후 건강이 나빠져 다시 세인트찰스(St. Charles)로 돌아와 여생을 기도하며 보내다가 1852년 11월 18일 83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더보기

However, just a year later, his health deteriorated, and he returned to St. Charles, where he spent the rest of his life in prayer and died on November 18, 1852, at the age of 8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