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8

[천주교 세례명(catholic baptismal name)] ‘가톨릭교회’라는 이름을 최초로 사용한 교부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Saint Ignatius of Antioch)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Saint Ignatius of Antioch) 축일(Feast) 10월 17일(17 October) 성인 구분(Saint Type) 성인(Saint) 시복(Beatified) 시성(Canonized) 수호(Patronage) 동부 지중해의 교회(Church in eastern Mediterranean), 북아프리카의 교회(Church in North Africa) 신분(Identity) 주교(bishop), 순교자(martyr), 교부(church father) 활동지역(activity area) 안티오키아(Antiochia) 활동연도(activity year) 35?-107년경 초대교회의 사도 교부.. 2023. 9. 25.
[천주교 세례명(catholic baptismal name)] 폴란드와 독일의 화해의 수호 성인 실레시아의 성녀 헤드비지스(Saint Hedwig of Silesia)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실레시아의 성녀 헤드비지스(Saint Hedwig of Silesia) 축일(Feast) 10월 16일(16 October) 성인 구분(Saint Type) 성녀(Saintess) 시복(Beatified) 시성(Canonized) 1267년 3월 26일(26 March 1267) 수호(Patronage) 폴란드(Poland), 실레시아(Silesia) 신분(Identity) 과부(widow), 수녀(nun) 활동지역(activity area) 실레시아(Silesia) 활동연도(activity year) 1174?-1243년 성녀 헤드비지스(Saint Hedwig)는 독일 바이에른(Bayern)의 안덱스(Andechs) 성에서 .. 2023. 9. 24.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Wang Liqun) 진시황(Qin Shi Huang) 강의 제 29강 만리장성(Great Wall of China)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29)万里长城 진나라는 중국 통일의 다민족 봉건국가의 시초로서 역사책에 천추를 빛낸 후한 필묵을 남겼습니다. 진나라의 창건자인 진시황은 분봉을 폐지하고 군현을 설치하고 전제주의, 중앙집권제를 실시하였으며 수레는 두 바퀴의 축을 같이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는 대통일 문명을 개창하며 천고일제의 명성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온 세상 사람의 주목을 받으며 만리장성을 쌓은 것은 오히려 진시황에게 비방과 칭찬이 반반인 역사적 평가를 주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진시황이 만리장성을 쌓은 것은 외적의 침입을 막아 백성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했으며 따라서 만리장성은 중화문명의 상징입니다. 또한 어떤 사람들은 만리장성을 쌓은 것이 진시황의 폭정을 반영한다고 생각했으며 .. 2023. 9. 23.
[천주교 세례명(catholic baptismal name)] 출산과 어머니들의 수호성인 성 제라르도 마젤라(Saint Gerard Majella)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성 제라르도 마젤라(Saint Gerard Majella) 축일(Feast) 10월 16일(16 October) 성인 구분(Saint Type) 성인(Saint) 시복(Beatified) 1893년 1월 29일(29 January 1893) 시성(Canonized) 1904년 12월 11일(11 December 1904) 수호(Patronage) 출산(childbirth), 어머니(motherhood) 신분(Identity) 수도사(Monk) 활동지역(activity area) 활동연도(activity year) 1726-1755년 성 제라르도 마젤라(Saint Gerard Majella)는 이탈리아의 나폴리의 작은 시골에서 .. 2023. 9. 23.
[천주교 세례명(catholic baptismal name)] 보편적 애덕의 어머니이자 캐나다 최초의 성녀 마리아 마르가리타 듀빌(Saint Marie-Marguerite d'Youville)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성녀 마리아 마르가리타 듀빌(Saint Marie-Marguerite d'Youville) 축일(Feast) 10월 16일(16 October) 성인 구분(Saint Type) 성녀(saintess) 시복(Beatified) 1959년 5월 3일(May 3, 1959) 시성(Canonized) 1990년 12월 9일(December 9, 1990) 수호(Patronage) 과부(widows), 어린 자녀의 죽음(death of young children) 신분(Identity) 과부(Widow), 설립자(Founder) 활동지역(activity area) 캐나다(Canada) 활동연도(activity year) 1701-177.. 2023. 9. 21.
[중국역사(中国历史)로 배우는 중국어(中国语) 회화(会话) 공부] 왕리췬(王立群) 진시황(秦始皇) 강의 제 28강 통일제도(统一制度) 王立群读《史记》之秦始皇(28)统一制度 지난 강의에서 왕리췬 선생은 진시황이 정치 제도, 조직 제도에서 많은 방법을 채택하여 진제국의 통치를 공고히 하였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문화와 경제에서도 진시황은 문자를 통일하고 도량형을 통일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통치를 강화하였습니다. 사서에는 진시황은 소전을 써서 중국 문자를 통일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는데 출토된 진나라 문자 중에서 우리가 더 많이 보았던 것은 진예였습니다. 이것은 왜일까요? 사서의 기록이 잘못된걸까요?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는걸까요? 진시황은 또한 경제에서 도량형을 통일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습니다. 이것이 또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요? 더보기 上一集中,王立群先生讲到,秦始皇从政治制度,组织制度上采取了很多办法来巩固.. 2023. 9. 20.
[천주교 세례명(catholic baptismal name)] 예수 성심(Sacred Heart of Jesus)의 사도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Saint Margaret Mary Alacoque)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Saint Margaret Mary Alacoque) 축일(Feast) 10월 16일(16 October) 성인 구분(Saint Type) 성녀(saintess) 시복(Beatified) 1864년 9월 18일(18 September 1864) 시성(Canonized) 1920년 5월 13일(13 May 1920) 수호(Patronage) 신분(Identity) 수녀(nun), 신비가(mystic) 활동지역(activity area) 활동연도(activity year) 1647-1690년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Saint Margaret Mary Alacoque)는 1647년 6월 22.. 2023. 9. 20.
[천주교 세례명(catholic baptismal name)] 체스와 레이스 제작자의 수호 성인 아빌라의 예수의 성녀 테레사(Saint Teresa of Ávila) ↑노래 들으시면서 읽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성인명(saint name)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Saint Teresa of Ávila) 축일(Feast) 10월 15일(15 October) 성인 구분(Saint Type) 성녀(saintess) 시복(Beatified) 1614년 4월 24일(24 April 1614) 시성(Canonized) 1622년 3월 12일(12 March 1622) 수호(Patronage) 체스(chess), 레이스 제작자(lacemakers) 신분(Identity) 설립자(founder), 교회학자(Doctor of the Church) 활동지역(activity area) 아빌라(Avila) 활동연도(activity year) 1515-1582년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S.. 2023. 9. 19.
반응형